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꼰대’가 모르는 MZ어, MZ가 싫어하는 ‘꼰대’어

#. 한국에서 뉴저지지사로 파견 근무를 온 20대 한 모 씨는 “미국에 오면 꼰대 문화가 없을 줄 알았는데, 여전히 회사 곳곳에서 ‘꼰대어’들이 들린다”며 “회식 때 상사들의 ‘라떼(나 때)’ 얘기를 듣고 있으면 머리가 하얘진다”고 전했다.   #. 한국계 기업 미주법인 임원인 50대 허 모 씨는 “가끔 젊은 직원들과 얘기를 나누면 알 수 없는 용어들을 사용해서 이해하지 못할 때가 있다”며 “그럴 때는 이해한 척하고 웃어 넘기기도 했다”고 고백했다. 그러면서 “젊은 세대와 원활한 소통을 위해서는 그 친구들이 쓰는 언어를 배울 필요가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꼰대’는 구태의연한 사고 방식을 타인에게 강요하는 직장 상사나 나이 많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며, ‘MZ세대’는 밀레니얼 세대(1981~1996년생)와 Z세대(1997~2012년생)를 통틀어 지칭하는 신조어다. 세대 간의 소통 격차를 줄일 수 있도록 젊은 세대의 MZ어, MZ세대가 싫어하는 ‘꼰대어’를 정리해봤다.     MZ어   ◆킹받는다=‘열 받는다’를 강조하기 위해 킹(king·왕)을 접두어처럼 사용한 신조어로, 한 마디로 엄청 화났다는 뜻이다.     ◆폼 미쳤다=기량이나 솜씨가 매우 좋고 범상치 않다는 의미로, ‘Form’과 ‘미쳤다’를 합친 말이다. 2022 카타르 월드컵 당시 한국 선수들을 칭찬하는 용어로 쓰이며 널리 퍼졌다.     ◆캘박=‘캘박’은 ‘캘린더 박제’의 준말로 일정을 캘린더에 저장한다는 뜻이다. 일례로 회식 날짜가 정해지면 “20일 회식으로 캘박해둘게요!”라고 말할 수 있다.     ◆중꺾그마=‘중요한 건 꺾여도 그냥 하는 마음’의 줄임말이다. ‘중꺾마(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의 변형이다. ‘중꺾마’가 악조건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는 불굴의 의지를 뜻하는 표현이라면, ‘중꺾그마’에는 반대로 ‘꺾여도 괜찮다’, ‘인생은 꺾이더라도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것’이라는 위로가 담겼다.   ◆점메추=‘점심 메뉴 추천’의 준말이다. “점메추 해주세요”하면 점심 메뉴 추천해달라는 의미로 이해하면 된다.   ◆그잡채=‘그 자체!’라는 뜻으로 발음이 유사해 MZ세대 사이에서 많이 활용되는 신조어다.     ◆갓생=‘신(God)’과 ‘인생’이 합쳐진 신조어로, ‘훌륭한 인생’, ‘모범이 되는 인생’을 말한다.   ◆SBN=S(선)B(배)N(님)의 약자다.   ◆내또출=‘내일 또 출근’의 줄임말이다.     ◆너 오늘 농협은행이다=‘너무 예쁘다’의 신조어다. 편의점에서 어느 외국인이 “농협은행이 어디냐”고 물었는데 직원이 잘못 알아 듣고 “너 오늘 예쁘다”라는 뜻으로 받아들였다는 얘기에서 만들어졌다.     꼰대어   ◆어딜 감히=한국 취업포털사이트 ‘인크루트’가 2018년 직장인 853명을 대상으로 직장 내 꼰대에 대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직장인이 가장 싫어하는 꼰대어로 ‘어딜 감히’가 꼽혔다.     ◆라떼는 말이야=‘라떼는(나 때는) 말이야’, ‘내가 너만 했을 때는’, ‘내가 왕년에는’, ‘내가 다 해봐서 아는데’ 등 옛날 무용담을 가장한 충고가 2위에 올랐다.   ◆다 너 잘되라고 하는 소리=설문조사 응답자 5명 중 1명은 ‘다 너 잘되라고 하는 얘기’, ‘아들·딸 같아서 하는 얘기’ 등이 가장 듣고 싶지 않은 꼰대어라고 답했다.   ◆요즘 MZ들은=‘요즘 젊은 친구들은 이래서 안돼’, ‘MZ들은 회식 싫어하지?’ 등 젊은 세대라는 이유로 기성 세대 문화를 싫어할 것이라고 단정 지어 얘기하는 것도 꼰대어 순위권에 올랐다.   ◆넌 사내 자식/여자가 돼서=사회적 성별의 역할을 구분하는 멘트도 꼰대어로 뽑혔다. 퀸즈의 한 한인 기업에서 근무 중인 20대 박 씨는 “요즘 같은 시대에도 성별에 대한 고정관념을 가진 분들이 있다”고 전했다.   윤지혜 기자직장인 소통 설문조사 응답자 직장인 853명 결과 직장인

2023-12-31

달라진 취업시장, 칼자루 다시 기업으로

팬데믹 동안 직원 중심으로 움직이던 취업시장이 경기침체 조짐이 보이면서 취업시장이 기업에 유리하게 돌아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피터슨 국제경제 기관이 지난 7월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실업자 1인당 2개의 일자리가 있었을 정도로 전반적으로 일자리가 증가했지만, 퇴사율 또한 높아졌다. 미국의 실업률은 2020년 6월부터 꾸준히 하락하기 시작해서 2022년 7월에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팬데믹을 거치면서 취업시장은 직원을 중심으로 돌아가게 됐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런 경향 때문에 기업이 사무실 공간을 장기적으로 임대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업은 새 직원을 고용하고 다시 교육하는 것보다 기존 직원들이 선호하는 재택근무를 허용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ADP 연구소가 3만 2000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지난 4월 실시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전체의 64%가 사무실에서 풀타임으로 복귀할 바에는 새 일자리를 찾는 것을 고려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애틀랜타 비즈니스 크로니클(ABC)는 "최근 경기 침체의 조짐이 보이면서 취업시장에서 기업의 입지가 커지고 있다"며 "경기 침체에 대한 경고가 직원들을 사무실로 복귀하게 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일자리 창출 및 이직률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지난 8월 미국의 일자리는 2년 반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고, 5개월 연속 감소 추세를 이어갔다.     토마스 라살비아 '무디스 애널리틱스' 경제 리서치 담당자는 ABC에 "취업시장이 빡빡할 때 대담하게 임금이나 혜택을 요구하는 것은 직원들이지만 느슨한 취업시장에서 우위에 있는 것은 고용주"라고 전했다.     다국적 컨설팅 회사인 PWC가 설문 조사한 기업의 약 50%는 향후 12개월 이내에 전체 직원 수를 줄이고 새로운 고용을 중단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답했으며, 40%는 고용 제안 철회를 고려 중이라고 답했다.     실제로 애틀랜타에 있는 인텔 사, 메타 플랫폼 사, 포드 모터스 등에서는 이미 고용 열기가 식었다.     아울러 글로벌 마켓 리서치 회사인 '더 해리스 폴'이 블룸버그 뉴스를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응답자의 51%는 기업과 재택근무를 협상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59%는 연봉 인상을 요구하는 것에 주저함을 느끼고 있다고 답했다. 또 약 62%는 현재 불확실한 경제 상황 때문에 현 직장에 머물 것이라고 답했다.     윤지아 기자취업시장 칼자루 경기침체 조짐 설문조사 응답자 일자리 창출

2022-10-18

미국 청소년, 페이스북 안 쓴다

소셜미디어 지형이 바뀌고 있다. 소셜미디어 산업의 유행을 선도하는 10대들이 페이스북은 거의 쓰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유튜브, 틱톡 등 영상을 기반으로 한 소셜미디어들이 독보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12일 퓨리서치센터의 최근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13~17세 사이 미국 10대 청소년 중 페이스북을 쓴다고 답변한 경우는 32%밖에 되지 않았다. 약 8년 전인 2014~2015년 같은 조사에서는 페이스북이 소셜미디어 중 압도적 1위였다. 당시 10대들의 페이스북 사용 비율은 71%에 달했다.   반면 최근엔 소셜미디어 중에서도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플랫폼이 인기였다. 설문조사 응답자 중 유튜브를 쓴다고 답변한 응답자는 95%로, 미국 10대 청소년의 대부분이 유튜브를 보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음으로 인기가 높은 소셜미디어는 틱톡이었다. 중국 업체인 바이트댄스가 소유한 비디오 업체 틱톡은 2017년경 출시된 후 인기가 급상승했다. 틱톡을 사용한 적이 있다고 답변한 응답자는 67%였고, 전체 10대 응답자 중 16%는 거의 지속적으로 틱톡을 쓴다고 답했다. 이외에는 인스타그램(62%), 스냅챗(59%)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10대들이 주로 사용하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공통점은 모두 영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어릴 때부터 영상 콘텐트에 익숙한 만큼, 궁금한 점이 있어도 구글에 검색하기보다는 유튜브 등에 검색해 영상으로 답을 얻는 것을 쉽게 느끼고 있어서다. 틱톡의 경우 짧고 간결한 영상이기 때문이 보기 쉽다는 점도 인기를 끄는 요소다. 페이스북·인스타그램은 광고가 너무 많이 추가되면서 충성 고객을 잃었다는 평도 많다.   한편 퓨리서치센터 조사에 따르면, 10대 응답자의 54%는 소셜미디어 사용을 중단하기가 다소 어려울 것이라고 응답했다. 특히 여성(58%)의 경우 남성(49%)보다 소셜미디어에 더 매달리는 경우가 많았다. 가계 소득별로는 사용 빈도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유튜브나 틱톡을 더 자주 체크한다는 비율은 흑인과 히스패닉이 20~30%로, 백인(약 10%)보다 높았다. 퓨리서치센터는 지난 4월 14일부터 5월 4일까지 1316명의 10대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페이스북 미국 설문조사 응답자 소셜미디어 사용 소셜미디어 플랫폼

2022-08-1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